관상동맥 석회화(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CAC)는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Coronary Artery) 벽에 칼슘이 침착되면서 생기는 석회화(石灰化) 병변을 말합니다. 이는 죽상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 이 오래된 후 칼슘이 쌓이며 단단해지는 과정으로, 관상동맥질환(CAD)의 조기 지표입니다.
즉, 석회화는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보여주는 마커로 작용하며,심근경색, 협심증, 심장 돌연사 위험 예측에 매우 중요한 임상적 의미를 가집니다.
주요 원인 및 발생 기전
- 죽상경화 과정의 일부
→ 혈관 내막에 염증이 생기고 지질(콜레스테롤 등)이 축적되며,시간이 지나면서 칼슘이 침착되어 석회화 발생
- 주요 위험 인자
- 고혈압
- 고지혈증 (LDL 상승)
- 당뇨병
- 흡연
- 만성 신장질환
- 비만
- 노화
- 가족력
- 남성 (여성은 폐경 이후 위험도 증가)
진단 방법
관상동맥 석회화 스코어(CAC Score)는 저선량 흉부 CT (비조영 심장 CT)를 통해 측정합니다.
CAC Score | 임상적 해석 |
0 | 석회화 없음 → 낮은 심혈관 위험도 |
1–99 | 경도 석회화 → 약간 증가된 위험 |
100–399 | 중등도 석회화 → 중간~높은 위험도 |
≥ 400 | 고도 석회화 → 심혈관 사건(심근경색 등) 고위험군 |
※ CAC 스코어는 무증상 고위험군의 심혈관질환 예측력이 매우 높아미국심장학회(AHA)에서도 중간위험군의 심혈관 위험 평가에 적극 권장하고 있습니다.
임상적 의미
- CAC는 죽상경화증이 이미 진행되고 있다는 객관적 지표입니다.
- 석회화 자체가 혈관을 좁히는 것은 아니지만, 동반된 연화된(soft) 죽상반이 불안정해지며 심근경색 유발 가능성 ↑
- CAC가 0이더라도, 당뇨병, 흡연력, 가족력이 있다면 여전히 심혈관 위험은 존재합니다.
- CAC 스코어가 높을수록 스타틴(고지혈증 치료제), 아스피린 등 예방적 약물 치료의 필요성이 높아짐
증상
※ 관상동맥 석회화 자체는 증상이 없습니다.하지만 석회화가 동반된 죽상반이 심해질 경우 관상동맥이 좁아지며 협심증·심근경색 증상이 나타납니다.
- 가슴 통증/압박감 (운동 시 악화, 휴식 시 호전)
- 숨참, 피로감, 어지럼증
- 야간 흉통, 식후 흉통
- 심한 경우 돌연사 위험
치료 및 관리
1. 약물 치료 (위험도에 따라)
– 스타틴: LDL 콜레스테롤 조절로 죽상경화 억제
– 아스피린 저용량: 고위험군의 혈전 예방
– 혈압, 당뇨 조절 약물 병용
2. 생활습관 개선
– 금연, 저염·지중해식 식단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걷기, 자전거, 수영 등)
– 체중 감량, 스트레스 조절
3. 정기적 모니터링
– CAC 스코어 100 이상은 1~2년 주기 추적 검사 권장
– 심전도, 심초음파, 필요 시 심혈관 조영술로 평가
결론
관상동맥 석회화는 죽상경화증의 진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강력한 심혈관 위험 지표입니다. 특히 증상이 없는 중장년층에서 CAC 스코어는 심장질환 예방을 위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석회화가 있다고 무조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높은 점수일수록 예방적 조치(약물, 생활습관 개선, 추적검사)가 필수적입니다.
'건강한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침하면 두통이 오는 이유 (0) | 2025.04.05 |
---|---|
알레르기 약의 종류와 성분 (0) | 2025.04.04 |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는 이유 (0) | 2025.04.04 |
혈관 관리의 중요성 (0) | 2025.04.03 |
혈전병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5.04.02 |
혈전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5.04.02 |
알레르기 비염 (0) | 2025.03.31 |
알레르기 기관지 과민반응 알아보기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