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다이어트

알레르기 약의 종류와 성분

by note-21 2025. 4. 4.
반응형

알레르기 약은 증상의 종류와 강도, 발생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크게는 항히스타민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비충혈제거제, 면역조절제, 생물학적 제제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항히스타민제 (Antihistamines)

작용 기전: 히스타민(H1 수용체)의 작용을 차단해 가려움, 재채기, 콧물, 눈물 등 증상 억제

구분 1세대 항히스타민 2세대 항히스타민제
특성 졸림 유발, 작용 빠름 졸림 적고 장시간 작용
대표 성분 클로르페니라민(Chlorpheniramine),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 세티리진(Cetirizine), 로라타딘(Loratadine), 펙소페나딘(Fexofenadine), 레보세티리진(Levocetirizine), 데슬로라타딘(Desloratadine)

 

사용 예시: 알레르기 비염, 두드러기, 결막염 등

 

 

2. 코르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s)

 

작용 기전: 면역반응과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점막 부종, 가려움, 기관지 수축 등을 완화

종류 사용 형태 대표 성분
경구/주사 전신 작용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비강 분무 알레르기 비염 플루티카손(Fluticasone), 베클로메타손(Beclomethasone), 부데소니드(Budesonide)
흡입형 천식, 기관지염 플루티카손+살메테롤(Advair), 부데소니드+포르모테롤(Symbicort)
연고형 피부염, 습진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3.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s)

 

작용 기전: 류코트리엔이라는 염증 매개물질을 차단해 기관지 수축, 점액 생성, 염증을 억제

  1. 대표 성분: 몬테루카스트(Montelukast)
  2. 사용: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스피린 유발 천식에 효과

 

 

 

4. 비충혈제거제 (Decongestants)

작용 기전: 코 점막 혈관을 수축시켜 코막힘 완화

형태 성분 주의 사항
경구 슈도에페드린(Pseudoephedrine) 고혈압, 심장 질환 환자 주의
비강 스프레이 옥시메타졸린(Oxymetazoline), 자일로메타졸린(Xylometazoline) 장기 사용 시 약물성 비염 유발 가능 (3~5일 이하 사용)

 

 

5. 면역조절제 (면역치료, Immunotherapy)

 

작용 기전: 원인 항원을 소량씩 반복 투여해 면역 내성(관용) 유도

  1. 경구 면역치료: 설하정 (예: Grass pollen tablets)
  2. 주사 면역치료: 피하 주사(SCIT)
  3. 3~5년 이상 장기 치료 필요
  4. 알레르기 근본 치료법 중 하나로 간주됨

 

 

6. 생물학적 제제 (Biologics)

작용 기전: 특정 면역 경로(예: IgE, IL-4, IL-5 등)를 표적으로 억제

성분 용도 특징
오말리주맙 (Omalizumab) 중증 알레르기 천식, 만성 두드러기 IgE 억제제
메폴리주맙 (Mepolizumab), 벤랄리주맙 (Benralizumab) 호산구성 천식 IL-5 경로 차단

 

 

결론

알레르기 약물은 원인 물질의 회피와 함께 증상 조절 및 면역조절을 목적으로 다양한 약리기전을 가진 약물들이 사용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가장 널리 쓰이며, 비염·두드러기·결막염 등 다양한 알레르기 증상에 효과가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흡입 스테로이드나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하며, 장기적으로는 면역치료가 근본적인 접근이 될 수 있습니다. 약물 선택은 증상의 위치, 강도, 나이, 기저질환 등에 따라 의료진과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알레르기 약의 종류와 성분

반응형

'건강한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퓨린 물질에 대해 알아보기  (0) 2025.04.06
요산  (0) 2025.04.06
통풍의 원인  (0) 2025.04.05
기침하면 두통이 오는 이유  (0) 2025.04.05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는 이유  (0) 2025.04.04
혈관 관리의 중요성  (0) 2025.04.03
관상동맥 석회화 알아보기  (0) 2025.04.03
혈전병에 대해 알아보기  (0)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