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다이어트

혈전병에 대해 알아보기

by note-21 2025. 4. 2.
반응형

혈전병(Thrombophilia)은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혈액이 과도하게 응고되어 혈전을 쉽게 형성하는 상태 또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는 혈관 내에 불필요한 혈전(thrombus)이 형성되어 정맥 또는 동맥을 막아 심각한 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정맥혈전색전증(VTE: DVT + 폐색전증)과 관련되며, 유전적 또는 후천적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혈전병의 원인에 따른 분류

분류 주요 예시
1. 유전성 혈전병 - 항트롬빈 III 결핍 (Antithrombin III deficiency)
- 단백 C 결핍 (Protein C deficiency)
- 단백 S 결핍 (Protein S deficiency)
- Factor V Leiden 돌연변이
- 프로트롬빈 유전자 변이(G20210A)
➡ 주로 젊은 나이에 혈전 발생, 가족력이 동반됨
   
2. 후천성 혈전병 -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Antiphospholipid Syndrome, APS)
- 악성 종양 (암)
- 수술 후 상태 / 장기 부동 상태
- 임신, 경구피임약, 여성호르몬 요법
- 비만, 흡연, 당뇨병, 만성 염증성 질환

 

 주요 증상

혈전이 생긴 위치에 따라 다름

  • 다리 깊은 정맥(DVT): 종아리 통증, 부종, 열감, 피부색 변화
  • 폐색전증(PE): 갑작스러운 숨참, 흉통, 빠른 심박수, 기침
  • 뇌혈전: 편측 마비, 언어장애, 의식 변화 → 뇌경색
  • 심장혈전: 흉통, 식은땀, 심정지 → 심근경색
  • 태반혈전: 임신 중 태반 혈류 차단 → 유산, 자궁 내 성장지연

 

 진단 방법

  • 병력 청취 및 가족력 확인

– 젊은 나이에 반복되는 혈전 발생, 가족 중 혈전 병력

 

  • 혈액 검사 (응고인자 및 항체 측정)

– 항트롬빈 III, 단백 C/S, Factor V Leiden 등

– 항인지질항체, 루푸스 항응고인자 등 확인

 

  • 영상 검사

– 정맥 초음파, CT 혈관조영술, 심장초음파 등

– 혈전의 위치 및 범위 확인

 

 

 

 

 치료 및 관리

1. 항응고제 치료

– 와파린, 헤파린, DOACs(아픽사반, 리바록사반 등)

– 급성기: 3~6개월, 재발성/고위험군: 장기 복용 필요

 

2. 후천적 요인 조절

– 피임약 중단, 암 치료, 비만·흡연·당뇨 관리

– 수술 전후 혈전 예방 조치 필수

 

3. 임신 중 관리

– 유전성 혈전병이 있는 여성은 임신 전 상담, 필요 시 저분자 헤파린 예방적 투여

– 태반혈전 위험 조절로 유산 방지 가능

 

 예방 수칙

  1. 장시간 비행 시 수시로 다리 스트레칭, 수분 섭취
  2. 수술 후 조기 보행
  3. 금연, 규칙적인 운동
  4. 정기 검진(특히 가족력 있는 경우)
  5. 고위험 환자에겐 압박스타킹, 예방적 항응고제 사용 고려

 

 혈전병과 관련된 질환

  1. 정맥혈전색전증 (DVT, 폐색전증)
  2.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3.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APS)
  4. 반복성 유산 및 임신 합병증
  5. 희귀 혈전증 (백신 유발 혈전 포함)

 

 결론

혈전병은 혈액 응고 시스템의 불균형으로 인해 정상보다 쉽게 혈전이 생기는 질환군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혈관 폐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유전적 요인 또는 암, 호르몬 치료, 수술 등 후천적 위험 인자를 동반한 경우, 적극적인 진단과 조기 개입이 필수적입니다.

항응고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 위험 상황에 따른 예방 조치가 혈전병의 핵심 관리 전략입니다.젊은 나이에 혈전이 생겼거나, 가족력이 있다면 혈전병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혈전병에 대해 알아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