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백내장은 수정체(lens)의 단백질 구조 변화와 변성으로 인해 혼탁(opacification)이 생겨, 망막까지 도달하는 빛의 통과가 방해되어 시력이 저하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 수정체는 무혈관 구조이며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높은 단백질 농도, 수분 조절, 항산화 방어체계가 조화롭게 작동합니다. 하지만 다양한 내·외적 인자에 의해 이러한 균형이 무너지면, 수정체 내 크리스탈린 단백질의 응집, 변성, 불용성화가 일어나 혼탁이 진행됩니다.
백내장의 원인 및 분류
백내장은 병인의 다양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노인성 백내장 (Senile Cataract)
- 가장 흔한 형태 (65세 이상에서 유병률 70% 이상)
- 노화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 축적,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 항산화 효소 감소 등이 원인
2. 당뇨병성 백내장
- 고혈당 상태에서 폴리올 경로 활성화 → 소르비톨 축적 → 삼투성 스트레스 및 수정체 팽윤
- 비정상적인 당 대사산물은 수정체 단백질 구조를 변화시켜 혼탁 유도
3. 외상성 백내장
- 관통손상, 무딘 외상, 전기 화상 등으로 인한 수정체 피질 손상
4. 약물 유발성 백내장
- 장기적인 스테로이드 사용 (전신 또는 안약 포함)
- 항정신병제, 고용량 방사선 치료 후 등
5. 선천성 또는 유전성 백내장
- TORCH 감염, 유전적 대사 이상(갈락토스혈증 등) 관련
임상 증상
백내장의 증상은 혼탁의 위치 및 정도에 따라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양상을 보입니다:
혼탁 위치 | 특징적 증상 |
핵백내장 (Nuclear) | 근시성 굴절 변화, 색감 누렇게 보임, 야간 시력 저하 |
피질백내장 (Cortical) | 광선 번짐(glare), 사물 겹쳐 보임 |
후낭하백내장 (PSC) | 주간보다 야간 시력 저하 심함, 독서 시 시야 혼탁 현저 |
공통 증상:
- 시력 저하 (서서히 진행)
- 눈부심과 광번짐 (glare, halos)
- 색감 감퇴, 대비감 감소
- 반복적인 안경 교체 필요성
진단
- 세극등 검사 (Slit-lamp microscopy): 수정체 혼탁의 위치와 형태 확인
- 시력검사 + 굴절검사: 교정시력 확인
- 망막 기능 검사 (OCT, 안저촬영): 수술 후 시력 회복 가능성 평가
치료 – 약물 치료는 효과 없음
현재까지 백내장을 약물로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은 확립되지 않았으며, 수술적 치료가 유일한 근본적 치료법입니다.
▶ 백내장 수술 (Phacoemulsification with IOL implantation)
- 초음파로 혼탁한 수정체를 유화하여 제거하고,그 자리에 인공수정체(IOL: Intraocular Lens)를 삽입하는 방식
- 대부분 국소마취 하에서 시행, 수술 시간은 15~30분
- 회복이 빠르고 합병증 발생률 낮음
📌 인공수정체 종류
종류 | 특징 |
단초점 렌즈 (Monofocal) | 원거리 또는 근거리 중 하나에 초점 |
다초점 렌즈 (Multifocal) | 근·중·원거리 모두 커버, 비용 부담 있음 |
난시교정 렌즈 (Toric) | 난시가 심한 경우 선택 |
수술 후 관리 및 합병증
관리 | 항목내용 |
항생제, 스테로이드 점안제 사용 | 감염 및 염증 예방 (수술 후 4~6주 사용) |
눈 비비기 금지 | 창상 안정 전까지 외부 압력 피해야 |
외부 활동 제한 | 초기 1주간 물 접촉, 화장, 사우나 금지 |
드물게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후낭혼탁(secondary cataract)– 안내염(Endophthalmitis)– 망막박리, 안내압 상승
예방 및 진행 지연 방법
- 자외선 차단: UV 차단 선글라스 착용
- 항산화 영양소 섭취: 비타민 C, E, 루테인, 제아잔틴, 아연 등
- 금연: 흡연은 수정체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
- 혈당 및 혈압 조절: 당뇨, 고혈압은 백내장 및 동반 안질환 위험 증가
- 정기 안과 검진: 40세 이상, 특히 당뇨 환자라면 1년에 1~2회 권장
결론
백내장은 수정체의 비가역적인 노화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수술적 치료를 통해 시력 회복이 가능한 대표적인 노인성 안질환입니다. 특히 수술 기술의 발전으로 대부분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며, 생활 습관 및 질환 관리로 발병 시기와 진행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건강한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어트 주사 삭센다와 오젬픽 장.단점 (0) | 2025.04.19 |
---|---|
헤르페스가 생기는 이유와 관리 방법 (0) | 2025.04.18 |
호르몬과 혈관 관계 (1) | 2025.04.14 |
호르몬 부작용으로 유방. 자궁에 문제가 오나 (0) | 2025.04.14 |
호르몬제와 식물성 대체제 알아보기 (0) | 2025.04.13 |
갱년기 호르몬 약 복용 방법과 관리 (0) | 2025.04.13 |
붓기가 살이 되는 이유와 원인 (0) | 2025.04.12 |
술을 먹으면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와 관리 방법 (1)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