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다이어트

기침의 원인

by note-21 2025. 3. 30.
반응형

기침은 기도를 보호하기 위한 반사적 방어 작용으로, 폐·기관지·후두·인두 등 호흡기에 들어온 자극을 제거하려는 생리적 반응입니다. 하지만 지속되거나 반복적인 기침은 질환의 징후일 수 있으며, 원인에 따라 급성·아급성·만성으로 분류됩니다.

 

 

 

 기침의 분류

분류 기준설명
지속 기간 급성(3주 미만), 아급성(3~8주), 만성(8주 이상)
기침 양상 마른기침(건성), 가래 기침(습성), 발작성 기침, 천명 동반 기침 등
기침 유발 시기 밤에 심해지는 기침, 운동 후 기침, 식사 후 기침 등

 

 

기침의 주요 원인

1. 호흡기계 원인

  • 감염성

– 감기, 인플루엔자, 후두염, 기관지염, 폐렴 등

– 보통 급성 기침을 유발하며, 발열·인후통·콧물 등을 동반

– 회복 후에도 기침만 남는 경우는 "기침 감염후 증후군"이라 함

 

  • 알레르기성

– 알레르기 비염, 천식, 기관지 과민반응

– 밤에 기침 심화, 쌕쌕거림(천명), 가슴 조임 느낌

 

  • 만성 기도 질환

– 만성 기관지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기관지확장증

– 오래된 가래 기침, 흡연력 동반

 

  • 역류성 질환

– 위식도 역류질환(GERD): 위산이 식도로 올라오며 후두·인두 자극

– 주로 밤이나 식후 악화, 마른 기침이나 목 이물감

 

  • 비인후 후유증 (Postnasal drip)

–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면서 인두를 자극

– 아침에 심하거나, 목을 자주 가다듬는 특징

 

2. 심혈관계 원인

  • 심부전(좌심실 기능 저하)

– 폐울혈로 인한 기침 유발, 특히 밤에 누웠을 때 악화

– 호흡곤란, 발목 부종을 동반하기도 함

 

 

 

 

3. 약물 유발성 기침

  • ACE 억제제(혈압약)

– 카프토프릴, 에날라프릴 등 일부 고혈압약은 마른기침 유발

– 복용 후 수주~수개월 내 발생 가능, 약 중단 시 개선

 

4. 환경적·물리적 요인

  • 미세먼지, 담배 연기, 화학물질 노출

– 대기 오염에 민감한 사람에서 만성적 자극성 기침

– 직업성 기침, 환경성 폐질환의 단서가 되기도 함

 

5. 기타 신경성 및 기능성 기침

  • 심인성/습관성 기침

– 명확한 신체 질환 없이 긴장, 스트레스, 불안 상황에서 발생

– 수면 중 사라지고 낮에 반복됨이 특징

  • 기침 틱(Tic disorder)

– 아이들에서 흔한 형태, 무의식적 습관성 반복 기침

 

 

기침의 위험 신호 (의료적 평가가 필요한 경우)

  1. 3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 기침
  2. 객혈(피 섞인 가래), 체중 감소, 발열 동반
  3. 야간 기침으로 수면 방해
  4. 흡연력 있는 성인의 기침
  5. 호흡곤란, 흉통 동반
  6. 기침 시 목소리 변화, 쉰 목소리 지속

 

 결론

기침은 단순한 증상이지만, 그 원인은 호흡기, 소화기, 심혈관, 약물, 심리적 요인까지 다양하며, 기침의 양상과 동반 증상, 지속 기간, 유발 요인 등을 종합해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진단 없이 단순 진해제 사용은 기저 원인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지속되거나 일상에 영향을 주는 기침은 반드시 의료기관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기침의 원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