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다이어트

골반저근 위치와 역활

by note-21 2025. 3. 26.
반응형

골반저근(Pelvic Floor Muscles)은 이름 그대로 골반의 바닥(floor)을 이루는 근육층으로, 골반강 내 장기들을 지지하고, 여러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핵심 구조물입니다.

 

 

 

1. 위치

골반저근은 치골(Pubis)에서 꼬리뼈(Coccyx)까지, 그리고 좌우 좌골(Ischial tuberosity) 사이를 가로지르는 넓고 얇은 근육과 인대의 집합체입니다.

  1. 남성과 여성 모두 존재하지만, 여성은 해부학적으로 질과 요도가 포함되어 구조적으로 더 복잡하고 넓음
  2. 주요 구성 근육:
  • 치골직장근(Puborectalis)
  • 치골미골근(Pubococcygeus)
  • 장미골근(Iliococcygeus)

→ 이들 세 근육은 함께 서혜삼각(Levator ani) 근육군을 이루며, 여기에 미골근(Coccygeus)이 추가되어 전체 골반저를 구성

 

2. 주요 역할

1) 골반 장기 지지

– 방광, 자궁, 직장 등 골반 내 장기를 중력과 복압에 대항하여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

– 특히 출산 후, 또는 노화로 인해 약해지면 장기 탈출(자궁탈, 직장탈 등) 위험 증가

 

2) 배뇨 및 배변 조절

– 요도 및 항문 괄약근과 연결되어 있어 소변·대변의 저장과 배출을 조절

– 골반저근이 약화되면 요실금, 급박뇨, 변실금 등 기능 이상 발생

 

3) 성 기능 유지

– 질과 음경을 감싸며 수축·이완을 조절하여 성적 감각, 질 수축력, 사정·오르가즘 반응에 관여

– 골반저 운동은 성 만족도 향상 및 성기능 개선과 관련이 있음

 

4) 복부·척추 안정화 보조

– 복부 심부근육(복횡근, 다열근, 횡격막 등)과 함께 몸통 안정성 유지에 기여

– 골반저는 복강 내압을 조절하고, 자세 안정과 허리 보호 기능에도 관여

 

 

 

3. 골반저근 약화 시 나타나는 증상

  1. 소변이 자주 새거나 갑자기 참기 어려움 (복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2. 배변 시 잔변감, 직장 탈출감
  3. 성감 저하, 질 이완감
  4. 하복부 압박감, 골반 불안정감
  5. 출산 후 회복 지연, 허리통증과 연결될 수 있음

 

4. 골반저근 강화 방법 (케겔 운동 포함)

  1. 케겔 운동: 항문·질 주변 근육을 5초간 수축 후 5초간 이완, 하루 3세트 반복
  2. 숨을 내쉬며 조이는 느낌으로 실시, 허벅지나 복부에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3. 여성은 출산 후 회복이나 폐경 이후 요실금 예방, 남성은 전립선 수술 후 회복에 효과적
  4. 필라테스, 요가, 골반저 물리치료도 병행 시 효과 증대

 

결론

골반저근은 작고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생리적 기능과 삶의 질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군입니다. 배뇨·배변, 성기능, 장기 지지, 자세 안정까지 담당하며, 약화되면 다양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케겔 운동과 자세 관리, 올바른 호흡법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출산 후 여성, 고령층, 운동 부족한 현대인에게는 더욱 필수적인 근육입니다.

 

 

 

 

골반저근 위치와 역활

반응형